
|
 |
|
안전관리란 사고 발생의 원인을 제거함으로서 사고로 인한 손실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계획을 |
|
수립하고 이를 실시하는 일을 말한다. |
 |
|
1) 기술적 요인 |
|
- 부적격한 설비나 불안전한 구조와 도구들 |
|
2) 환경적 요인 |
|
- 조명, 소음, 환기 등의 불안정한 상황과 시설의 결함, 잘못된 건물 구조와 운영관리의 부실 |
|
3) 인적요인 |
|
- 기술, 지식의 부족, 부주의, 주의의무태만 등 직원과 관련된 사고요인 |
 |
|
[환자 안전관리] |
|
1. 환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합니다. |
|
2. 환자의 건강상태를 수시로 확인하며 관찰합니다. |
|
3. 환자의 정신증상을 집중적으로 관찰합니다. |
|
3. 환자의 정신증상을 집중적으로 관찰합니다. |
|
-망상이나 환각증상으로 현실감이 떨어지는 경우 |
|
-병에 대한 인식이 없어서 치료의 필요성을 알지 못하는 경우 |
|
-정신적인 증상으로 자신을 해치거나, 타인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경우 |
|
-정신증상으로 도움이 필요한 경우 |
|
-기타 |
|
|
4. 환자의 신체적인 건강상태를 확인한다. (낙상이나 미끄럼등 주의) |
|
5. 치료적인 환경을 저해하는 요인을 확인하여 개선한다. |
|
물리적 환경: 병실환기 유무, 인화성 물질소지, 화장실, 병실바닥 물기유무, 출입문의 적절한 |
|
개폐, 칼이나 날카로운물건, 끈, 기타위험물건 인적 환경: 충분한 인력유무, 치료자들의 |
|
인성, 태도, 언행등 |
|
6. 모든 업무시 환자 입장에서 치료적 일 수 있도록 계획하고 실행한다. |
|
의료법인 고려의료재단 질향상 및 안전관리 위원회 환자 안전관리의 기본은 세심한 관심과 |
|
집중적인 관찰입니다. |
 |
 |
|
 |
|
|
병원감염관리가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감염관리조직 체계가 있어야 한다. |
|
|
대표적인 조직체계의 하나인 감염관리 정책이나 우선순위를 정하고, 감염관리 실무활동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|
|
|
감염관리위원 회와 실행기구인 감염관리실이다. 감염관리실의 병원감염 관리 업무의 실제적 수행을 위하여 전담 감염간호사와 |
|
|
감염관리 담당의사로 구성되어진다. |
|
|
|
|
 |
 |
|
|
|
|
 |
 |
|
|
|